훔친 키스 / Baisers Volés 음악적 리뷰 + 동영상 모음
1968년/ 각본+감독: François Truffaut / 주연: Jean-Pierre Léaud +
Claude Jade / 음악: Antoine Duhamel + Charles Trenet / 90분
프랑스가 낳은 천재적인 영화인의 한 사람,
프랑수와 트뤼포(François Truffaut. 1932-1984)의
자전적인 인물(Alter Ego)로 스크린에서 재창조가 된
앙투완 드와넬(Antoine Doinel)은
1959년도 깐느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트뤼포의 출세작이라고 할 수가 있는
‘400번의 구타(Les 400 Coups. 1959)’를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된다.
그 작품이 앙투완 드와넬의 불우하였던
10대 초반의 소년 시기를 조명하였다면,
“앙투완 드와넬 시리즈의 2편“ 격인
이 작품, ‘훔친 키스(Baisers Volés. 1968)‘는
말썽꾸러기, 그가 제대를 하고 결혼을 하기
직전까지의 청년 시절을 코믹 터치로 보여 주고 있다.
아무래도 트뤼포와 외모가 비슷한 덕도 보았겠지만,
여배우(Jacqueline Pierreux)의 아들이라서 그런지,
처음으로 출연한 데뷔 영화인데도 불구하고,
마치 노련한 성인 연기를 보는듯한 신들린 연기를
이미 14세 때, ‘400번의 구타’를 통해 보여 주었던
앙투완 역의 장 삐에르 레오(Jean-Pierre Léaud. 1944).
10년 후의 성인으로 자란 모습 그대로 그를
이 후속 작에 다시 출연시킨 점도 특이한 캐스팅이지만,
이 앙투완의 역할을 그는 1979년까지 20년 동안
모두 다섯 번이나 맡게 되는 게 또 기록적이다.
[이 영화의 원작으로 꼽히는 ‘앙투완과 꼴레트’에
17세의 장 삐에르 레오가 이미 출연을 했었지만,
트뤼포와 죽을 때까지 한 가족같이 지냈다는
이 레오야말로 트뤼포의 진정한
'페르소나(persona)'였다.]
그 어린 시절에 맞으면서 굳이 세어 가며,
구타를 400번씩이나 당하지는 않았을텐데,
사생아라는 정체성의 혼란도 있었겠지만, 여하튼
불량소년 아닌 불량소년으로 무지하게 맞고 자란
이 앙투완 드와넬은
성인이 된 후에도 군대에서 조차, 그를 빨리 제대를
시키는 게 낫겠다는 골치 아픈 인물로 묘사가 된다.
부드럽고 온화한 모습으로 인터뷰를 하던
프랑수와 트뤼포의 생전의 모습(위의 사진-왼쪽)을 보면서,
과연 그의 어느 곳에 이 말썽꾸러기, 앙투완 드와넬이
숨겨져 있는지 궁금한 적도 있었는데,
14살에 학교를 그만두었지만, 그 다음 해에 만난
영화평론가, 앙드레 바쟁(André Bazin. 1918–1958)은
불량소년, 트뤼포에게는 구세주와도 다름이 없었다.
평생의 멘토였던 바쟁을 통해 영화 비평가로서의
능력도 물론 얻었었겠지만, 트뤼포의 첫 장편작인
‘400번의 구타’를 통해 일약 스타감독으로
발돋움한 것도 또 이후, 누벨바그(Nouvellevague)를
대표하는 유명 영화인이 된 것도
모두 다 그의 덕분이라고 트뤼포가 회고한 적도 있었다.
앙투완과 결혼하는 크리스틴(Christine Darbon)역의
끌로드 자드(Claude Jade. 1948–2006)와는
작품 밖에서도 실제로 당시에 사랑을 나누는 사이였다고 한다.
국제적으로는 영어 제목인,
‘도둑맞은 키스들(Stolen Kisses)’로 개봉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누가 누구 걸 훔친 건지,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치가 뒤바뀐 ‘훔친 키스‘로 알려졌었던
이 작품에서 반드시 언급해야만 할 중요한 음악이 있다.
“우리들의 사랑에서 무엇이 남았나?
(What Remains of Our Love?)" 로 번역이 되는
'Que Reste T'il De Nos Amours' 이라는 샹송.
이 영화의 프랑스 원제목인 ‘Baisers Volés’도
바로 이 'Que Reste T'il De Nos Amours'의
중후반부 가사에서 차용을 할 정도로 트뤼포 감독이
기획 단계에서부터 주제곡으로 이미 결정을 했었다고 한다.
헤어진 연인과의 사이에서 남은 빛바랜 사진들 같은
각종 추억들을 회상하는 일종의 실연의 가사 내용인데,
그러나 멜로디만은 매우 희망적인 느낌도 주고 있어,
첫 장면인 오프닝 타이틀 장면(맨 위의 사진)에서부터
들려오는 이 곡의 분위기는 상당히 밝은 편이다.
장 뤽 고다르 (Jean-Luc Godard)의
'미치광이 삐에로(Pierrot Le Fou. 1965)'의
영화 음악을 맡은 인연으로 동생 같던 트뤼포와도 알게 된
앙투안 뒤아멜(Antoine Duhamel. 1925. 프랑스)의
오리지널 스코어(OS)는 마치 이 작품에서 존재치 않는 듯,
샤를 뜨레네의 이 명곡만이 변주를 통한 연주 음악으로도
끊임없이 들려온다.
1942년,
나치 독일군이 빠리를 점령하였던 시절,
이 곡을 직접 작곡, 작사를 한 싱어 송 라이터,
샤를 뜨레네(샬 / Charles Trenet. 1913-2001)자신이
처음으로 녹음하여 발표를 하였는데,
30년 후인 1972년에 달리다(Dalida)에 의해
리메이크가 되면서 프랑스 샹송의 전성시대에 더욱 더
큰 히트를 하였다.
한편, 이 1942년도 오리지널 곡의 작곡에는 샤를 뜨레네의
백밴드의 리더였던 레오 쇼리악(Léo Chauliac)도
참여를 하면서, 그 이름이 공동 작곡가로 남아있는데,
그는 1943년에 샤를 뜨레네의 고향인 지중해 해안 마을,
나르본느(Narbonne)에서 빠리로 돌아오는 기차 안에서
10분 만에 만들어지고, 3년 후인 1946년에 처음 발표가
되는 샤를 뜨레네의 최고 히트 명곡인,
‘바다(La Mer)(영어: Beyond The Sea)‘의 작곡에도
또 다시 참여를 하여 뜨레네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Ce soir le vent qui frappe à ma porte
Me parle des amours mortes
Devant le feu qui s' éteint
Ce soir c'est une chanson d' automne
Dans la maison qui frissonne
Et je pense aux jours lointains
Que reste-t-il de nos amours
Que reste-t-il de ces beaux jours
Une photo, vieille photo
De ma jeunesse
Que reste-t-il des billets doux
Des mois d' avril, des rendez-vous
Un souvenir qui me poursuit
Sans cesse
Bonheur fané, cheveux au vent
Baisers volés, rêves mouvants
Que reste-t-il de tout cela
Dites-le-moi
Un petit village, un vieux clocher
Un paysage si bien caché
Et dans un nuage le cher visage
De mon passé
2000년도 TV 영화,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에서도 메인 테마(Main Theme)곡으로 사용이 되었었지만,
끌로드 를루슈(Claude Lelouch)가 2002년에 발표한 또 다른
‘남 과 여’ 의 스토리,
‘레이디스 앤 젠틀맨/ And Now... Ladies & Gentlemen‘
에서는 주인공, 빠뜨리시아 까스(Patricia Kaas)가
제목이 ‘I Wish You Love’ 라는 영어 버전으로
(영어가사 작사: Albert A. Beach)
극중에서 마이크를 쥐고 직접 부르는 장면도 있다.
를루슈(Lelouch)감독은 그의 최근작인
‘Ces Amours-Là. (2010)‘에서도 이 명곡을 다시 사용했었다.
또한, ‘아이 오브 비홀더(Eye Of The Behold. 1999)'와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아까운 것들(Something's Gotta Give. 2003)‘,
그리고 ‘프라임 러브(Prime. 2005)‘ 등등,
수많은 작품에 이 명곡이 여러 번 삽입 되었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와니 와 준하 (2001)'에
리자 오노(Lisa Ono)가 보사노바 리듬으로 부른 곡이
삽입이 되면서 이 버전이 가장 널리 대중화가 되었다.
샤를 뜨레네(샬 / Charles Trenet)의 최고의 히트 명곡인
‘바다(La Mer)(영어: Beyond The Sea)‘에 버금갈 정도로
아름다운 이 곡의 영어 가사는
앨버트 비치(Albert A. Beach)가 작사를 하였는데,
구절구절이 시적으로 꽤 아름답지만,
이별을 할 수 밖에 없는 연인에게 앞날의 행복을
기원(Wish)하는 실연의 곡이라는 점에서
밝은 멜로디 분위기와는 상반되는 그 내용이 아쉽다.
물론 샹송 원곡도 실연의 내용이긴 하지만........
(그러나, 그런 내용도 모르고 우리나라 예식장에서는 아직도 결혼
축가로 이곡이 많이 쓰이고 있다. 결혼 하자마자 바로 헤어지자고..? )
어쨌든, 이 영어 버전은 1957년도에
킬리 스미스(Keely Smith)가 처음으로 녹음을 하였는데,
글로리아 린(Gloria Lynne)의 1964년도 버전이
그해의 빌보드와 캐쉬박스 차트 상위(3위)에 랭크되면서
가장 히트한 싱글 카버 송(Cover Song)이 된다.
I wish you bluebirds in the Spring
to give your heart a song to sing
and then a kiss, but more than this
I wish you love
And in July a lemonade
to cool you in some leafy glade
I wish you health, and more than wealth
I wish you love
My breaking heart and I agree
that you and I could never be
so with my best, my very best
I set you free
I wish you shelter from the storm
a cozy fire to keep you warm
but most of all, when snowflakes fall
I wish you well
1968년 2월 초에 이 영화가 크랭크인을 했다는데,
촬영 시작 며칠 후에 그렇지 않아도 시끄럽던 당시의
프랑스 정국을 또 다시 벌컥 뒤집어놓은 사건이 발생한다.
바로 문화부 장관이자 유명한 문학가인,
앙드레 말로(Andre Georges Malraux. 1901-1976. 프랑스)가
시네마테크 후랑세스(Cinematheque Francaise)의 사무총장,
앙리 랑글루아(Henri Langlois, 1914-1977)를
전격 해고 한 것이다.
이 결정에 누구보다도 크게 반발을 한 트뤼포 감독은
장 뤽 고다르(Jean Luc Godard. 1930. 프랑스),
장 뽈 벨몽도(Jean-Paul Belmondo. 1933. 프랑스)등등과
함께 ‘시네마테크 수호위원회’를 발족하고,
대학생들과 노동자들과 연대를 하여 바로 투쟁에 들어간다.
결국, 이런 시위는 바로 프랑스 현대사의 큰 이정표인
‘68 혁명(5월 혁명)’으로 이어지는데,
같은 해, 5월의 깐느영화제를 보이콧 하는 운동에까지 참여를
했었던 트뤼포 감독은 3월까지 촬영을 한 필름을 편집하랴,
여기저기서 투쟁을 하랴, 정신이 없는 나날들을 보냈다고 한다.
[베르나르도 베르토루치(Bernardo Bertolucci)의 2003년 작,
‘몽상가들(The Dreamers)‘의 시대적 배경이 바로 이 때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아무래도 시나리오를 포함하여 모든 준비들을
사전에 치밀하게 하며 이 작품 제작에 임할 수가 없게 되면서,
촬영장에서의 즉흥적인 결정도 많이 하였다고 하는데,
앙투완 드와넬의 직업중의 하나였던 사립 탐정도
거리의 전단지를 보고서 즉흥적으로 결정을 했었다고 하니
그나마 투쟁하느라 무척이나 바쁜 일정 속에서도
1968년의 2월과 3월 두 달 동안
이 작품을 이렇게 잘 찍어 낸 게 신통하다.
어쨋든, 샤를 뜨레네의 음성으로
'Que Reste T'il De Nos Amours'가
들려오는 오프닝 타이틀(Credits) 시퀀스에는
"이 영화를 내가 지지하는 앙리 랑글루아와 시네마테크 후랑세스에
바친다.“는 헌정의 글도 그의 친필 사인과 함께 나오니,
이 영화 역시도 이젠 ‘68 혁명(5월 혁명)’ 역사의
산증인이 된 셈이다.
1968년 8월에 개최가 된 아비뇽 필름 페스티발에서
첫 선을 보인 이 작품은
그 다음 달에 빠리에서 상업적 개봉을 하였고,
미국 시장에서는 1969년 봄에 개봉을 한 후,
특이하게 펼쳐진 사랑이야기라는 좋은 반응을 얻었었다.
* 관련 동영상 모음:
Jay. 264번째 영화리뷰. Dec. 2011.
1968년/ 각본+감독: François Truffaut / 주연: Jean-Pierre Léaud +
Claude Jade / 음악: Antoine Duhamel + Charles Trenet / 90분
프랑스가 낳은 천재적인 영화인의 한 사람,
프랑수와 트뤼포(François Truffaut. 1932-1984)의
자전적인 인물(Alter Ego)로 스크린에서 재창조가 된
앙투완 드와넬(Antoine Doinel)은
1959년도 깐느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트뤼포의 출세작이라고 할 수가 있는
‘400번의 구타(Les 400 Coups. 1959)’를 통해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된다.
그 작품이 앙투완 드와넬의 불우하였던
10대 초반의 소년 시기를 조명하였다면,
“앙투완 드와넬 시리즈의 2편“ 격인
이 작품, ‘훔친 키스(Baisers Volés. 1968)‘는
말썽꾸러기, 그가 제대를 하고 결혼을 하기
직전까지의 청년 시절을 코믹 터치로 보여 주고 있다.
아무래도 트뤼포와 외모가 비슷한 덕도 보았겠지만,
여배우(Jacqueline Pierreux)의 아들이라서 그런지,
처음으로 출연한 데뷔 영화인데도 불구하고,
마치 노련한 성인 연기를 보는듯한 신들린 연기를
이미 14세 때, ‘400번의 구타’를 통해 보여 주었던
앙투완 역의 장 삐에르 레오(Jean-Pierre Léaud. 1944).
10년 후의 성인으로 자란 모습 그대로 그를
이 후속 작에 다시 출연시킨 점도 특이한 캐스팅이지만,
이 앙투완의 역할을 그는 1979년까지 20년 동안
모두 다섯 번이나 맡게 되는 게 또 기록적이다.
[이 영화의 원작으로 꼽히는 ‘앙투완과 꼴레트’에
17세의 장 삐에르 레오가 이미 출연을 했었지만,
트뤼포와 죽을 때까지 한 가족같이 지냈다는
이 레오야말로 트뤼포의 진정한
'페르소나(persona)'였다.]
그 어린 시절에 맞으면서 굳이 세어 가며,
구타를 400번씩이나 당하지는 않았을텐데,
사생아라는 정체성의 혼란도 있었겠지만, 여하튼
불량소년 아닌 불량소년으로 무지하게 맞고 자란
이 앙투완 드와넬은
성인이 된 후에도 군대에서 조차, 그를 빨리 제대를
시키는 게 낫겠다는 골치 아픈 인물로 묘사가 된다.
부드럽고 온화한 모습으로 인터뷰를 하던
프랑수와 트뤼포의 생전의 모습(위의 사진-왼쪽)을 보면서,
과연 그의 어느 곳에 이 말썽꾸러기, 앙투완 드와넬이
숨겨져 있는지 궁금한 적도 있었는데,
14살에 학교를 그만두었지만, 그 다음 해에 만난
영화평론가, 앙드레 바쟁(André Bazin. 1918–1958)은
불량소년, 트뤼포에게는 구세주와도 다름이 없었다.
평생의 멘토였던 바쟁을 통해 영화 비평가로서의
능력도 물론 얻었었겠지만, 트뤼포의 첫 장편작인
‘400번의 구타’를 통해 일약 스타감독으로
발돋움한 것도 또 이후, 누벨바그(Nouvellevague)를
대표하는 유명 영화인이 된 것도
모두 다 그의 덕분이라고 트뤼포가 회고한 적도 있었다.
앙투완과 결혼하는 크리스틴(Christine Darbon)역의
끌로드 자드(Claude Jade. 1948–2006)와는
작품 밖에서도 실제로 당시에 사랑을 나누는 사이였다고 한다.
국제적으로는 영어 제목인,
‘도둑맞은 키스들(Stolen Kisses)’로 개봉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누가 누구 걸 훔친 건지,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치가 뒤바뀐 ‘훔친 키스‘로 알려졌었던
이 작품에서 반드시 언급해야만 할 중요한 음악이 있다.
“우리들의 사랑에서 무엇이 남았나?
(What Remains of Our Love?)" 로 번역이 되는
'Que Reste T'il De Nos Amours' 이라는 샹송.
이 영화의 프랑스 원제목인 ‘Baisers Volés’도
바로 이 'Que Reste T'il De Nos Amours'의
중후반부 가사에서 차용을 할 정도로 트뤼포 감독이
기획 단계에서부터 주제곡으로 이미 결정을 했었다고 한다.
헤어진 연인과의 사이에서 남은 빛바랜 사진들 같은
각종 추억들을 회상하는 일종의 실연의 가사 내용인데,
그러나 멜로디만은 매우 희망적인 느낌도 주고 있어,
첫 장면인 오프닝 타이틀 장면(맨 위의 사진)에서부터
들려오는 이 곡의 분위기는 상당히 밝은 편이다.
장 뤽 고다르 (Jean-Luc Godard)의
'미치광이 삐에로(Pierrot Le Fou. 1965)'의
영화 음악을 맡은 인연으로 동생 같던 트뤼포와도 알게 된
앙투안 뒤아멜(Antoine Duhamel. 1925. 프랑스)의
오리지널 스코어(OS)는 마치 이 작품에서 존재치 않는 듯,
샤를 뜨레네의 이 명곡만이 변주를 통한 연주 음악으로도
끊임없이 들려온다.
1942년,
나치 독일군이 빠리를 점령하였던 시절,
이 곡을 직접 작곡, 작사를 한 싱어 송 라이터,
샤를 뜨레네(샬 / Charles Trenet. 1913-2001)자신이
처음으로 녹음하여 발표를 하였는데,
30년 후인 1972년에 달리다(Dalida)에 의해
리메이크가 되면서 프랑스 샹송의 전성시대에 더욱 더
큰 히트를 하였다.
한편, 이 1942년도 오리지널 곡의 작곡에는 샤를 뜨레네의
백밴드의 리더였던 레오 쇼리악(Léo Chauliac)도
참여를 하면서, 그 이름이 공동 작곡가로 남아있는데,
그는 1943년에 샤를 뜨레네의 고향인 지중해 해안 마을,
나르본느(Narbonne)에서 빠리로 돌아오는 기차 안에서
10분 만에 만들어지고, 3년 후인 1946년에 처음 발표가
되는 샤를 뜨레네의 최고 히트 명곡인,
‘바다(La Mer)(영어: Beyond The Sea)‘의 작곡에도
또 다시 참여를 하여 뜨레네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Ce soir le vent qui frappe à ma porte
Me parle des amours mortes
Devant le feu qui s' éteint
Ce soir c'est une chanson d' automne
Dans la maison qui frissonne
Et je pense aux jours lointains
Que reste-t-il de nos amours
Que reste-t-il de ces beaux jours
Une photo, vieille photo
De ma jeunesse
Que reste-t-il des billets doux
Des mois d' avril, des rendez-vous
Un souvenir qui me poursuit
Sans cesse
Bonheur fané, cheveux au vent
Baisers volés, rêves mouvants
Que reste-t-il de tout cela
Dites-le-moi
Un petit village, un vieux clocher
Un paysage si bien caché
Et dans un nuage le cher visage
De mon passé
2000년도 TV 영화,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에서도 메인 테마(Main Theme)곡으로 사용이 되었었지만,
끌로드 를루슈(Claude Lelouch)가 2002년에 발표한 또 다른
‘남 과 여’ 의 스토리,
‘레이디스 앤 젠틀맨/ And Now... Ladies & Gentlemen‘
에서는 주인공, 빠뜨리시아 까스(Patricia Kaas)가
제목이 ‘I Wish You Love’ 라는 영어 버전으로
(영어가사 작사: Albert A. Beach)
극중에서 마이크를 쥐고 직접 부르는 장면도 있다.
를루슈(Lelouch)감독은 그의 최근작인
‘Ces Amours-Là. (2010)‘에서도 이 명곡을 다시 사용했었다.
또한, ‘아이 오브 비홀더(Eye Of The Behold. 1999)'와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아까운 것들(Something's Gotta Give. 2003)‘,
그리고 ‘프라임 러브(Prime. 2005)‘ 등등,
수많은 작품에 이 명곡이 여러 번 삽입 되었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와니 와 준하 (2001)'에
리자 오노(Lisa Ono)가 보사노바 리듬으로 부른 곡이
삽입이 되면서 이 버전이 가장 널리 대중화가 되었다.
샤를 뜨레네(샬 / Charles Trenet)의 최고의 히트 명곡인
‘바다(La Mer)(영어: Beyond The Sea)‘에 버금갈 정도로
아름다운 이 곡의 영어 가사는
앨버트 비치(Albert A. Beach)가 작사를 하였는데,
구절구절이 시적으로 꽤 아름답지만,
이별을 할 수 밖에 없는 연인에게 앞날의 행복을
기원(Wish)하는 실연의 곡이라는 점에서
밝은 멜로디 분위기와는 상반되는 그 내용이 아쉽다.
물론 샹송 원곡도 실연의 내용이긴 하지만........
(그러나, 그런 내용도 모르고 우리나라 예식장에서는 아직도 결혼
축가로 이곡이 많이 쓰이고 있다. 결혼 하자마자 바로 헤어지자고..? )
어쨌든, 이 영어 버전은 1957년도에
킬리 스미스(Keely Smith)가 처음으로 녹음을 하였는데,
글로리아 린(Gloria Lynne)의 1964년도 버전이
그해의 빌보드와 캐쉬박스 차트 상위(3위)에 랭크되면서
가장 히트한 싱글 카버 송(Cover Song)이 된다.
I wish you bluebirds in the Spring
to give your heart a song to sing
and then a kiss, but more than this
I wish you love
And in July a lemonade
to cool you in some leafy glade
I wish you health, and more than wealth
I wish you love
My breaking heart and I agree
that you and I could never be
so with my best, my very best
I set you free
I wish you shelter from the storm
a cozy fire to keep you warm
but most of all, when snowflakes fall
I wish you well
1968년 2월 초에 이 영화가 크랭크인을 했다는데,
촬영 시작 며칠 후에 그렇지 않아도 시끄럽던 당시의
프랑스 정국을 또 다시 벌컥 뒤집어놓은 사건이 발생한다.
바로 문화부 장관이자 유명한 문학가인,
앙드레 말로(Andre Georges Malraux. 1901-1976. 프랑스)가
시네마테크 후랑세스(Cinematheque Francaise)의 사무총장,
앙리 랑글루아(Henri Langlois, 1914-1977)를
전격 해고 한 것이다.
이 결정에 누구보다도 크게 반발을 한 트뤼포 감독은
장 뤽 고다르(Jean Luc Godard. 1930. 프랑스),
장 뽈 벨몽도(Jean-Paul Belmondo. 1933. 프랑스)등등과
함께 ‘시네마테크 수호위원회’를 발족하고,
대학생들과 노동자들과 연대를 하여 바로 투쟁에 들어간다.
결국, 이런 시위는 바로 프랑스 현대사의 큰 이정표인
‘68 혁명(5월 혁명)’으로 이어지는데,
같은 해, 5월의 깐느영화제를 보이콧 하는 운동에까지 참여를
했었던 트뤼포 감독은 3월까지 촬영을 한 필름을 편집하랴,
여기저기서 투쟁을 하랴, 정신이 없는 나날들을 보냈다고 한다.
[베르나르도 베르토루치(Bernardo Bertolucci)의 2003년 작,
‘몽상가들(The Dreamers)‘의 시대적 배경이 바로 이 때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아무래도 시나리오를 포함하여 모든 준비들을
사전에 치밀하게 하며 이 작품 제작에 임할 수가 없게 되면서,
촬영장에서의 즉흥적인 결정도 많이 하였다고 하는데,
앙투완 드와넬의 직업중의 하나였던 사립 탐정도
거리의 전단지를 보고서 즉흥적으로 결정을 했었다고 하니
그나마 투쟁하느라 무척이나 바쁜 일정 속에서도
1968년의 2월과 3월 두 달 동안
이 작품을 이렇게 잘 찍어 낸 게 신통하다.
어쨋든, 샤를 뜨레네의 음성으로
'Que Reste T'il De Nos Amours'가
들려오는 오프닝 타이틀(Credits) 시퀀스에는
"이 영화를 내가 지지하는 앙리 랑글루아와 시네마테크 후랑세스에
바친다.“는 헌정의 글도 그의 친필 사인과 함께 나오니,
이 영화 역시도 이젠 ‘68 혁명(5월 혁명)’ 역사의
산증인이 된 셈이다.
1968년 8월에 개최가 된 아비뇽 필름 페스티발에서
첫 선을 보인 이 작품은
그 다음 달에 빠리에서 상업적 개봉을 하였고,
미국 시장에서는 1969년 봄에 개봉을 한 후,
특이하게 펼쳐진 사랑이야기라는 좋은 반응을 얻었었다.
* 관련 동영상 모음:
Jay. 264번째 영화리뷰. Dec. 2011.
'영화음악이야기들-1960년대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시 / The 25th Hour 음악적 리뷰 + 음악과 동영상 모음 (1) | 2012.03.07 |
---|---|
파리의 정사 / Vivre Pour Vivre 음악적인 리뷰 + 동영상 모음 (1) | 2012.02.06 |
졸업 / The Graduate 음악적 리뷰 + 동영상 모음 (0) | 2012.01.31 |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 2001: A Space Odyssey 리뷰 + 동영상 모음 (0) | 2012.01.23 |
웨스턴/Once Upon A Time in The West 음악적 리뷰 + 동영상 모음 (1) | 201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