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 / I Girasoli / Sunflower 음악적 리뷰 + 동영상모음
1970년/감독:Vittorio De Sica/주연:Sophia Loren + Marcello Mastroianni
음악: Henry Mancini/ 108분
우즈베키스탄이나 중앙아시아 그리고
사할린과 연해주 지방 등에 살고 있는
수많은 우리나라 동포들이 그러하듯이
(물론, 남과 북으로 갈라진 한반도의 이산가족들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지만....)
전쟁은 참으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고향을 떠나
먼 이역에서 본의 아니게 타향살이를 하게끔 만들었다.
이 영화 속의 남자 주인공,
안토니오 (Marcello Mastroianni, 1924-1996, 이태리) 역시
고향, 이태리에서 러시아 전선으로 파병이 되고 나서,
전쟁이 끝난 후에도 사정상 또는 인정상,
(해바라기가 잘 자라는) 그곳에 눌러앉아 살게 된다.
흰 눈 속의 강추위에서 죽음의 일보직전에까지 갔던
자신을 살려준 한 여인을 누구라도 그러 했겠지만,
어찌 모른 척 할 수 있었겠는가?
그래서 할 수 없이 같이 살게 되었고,
살다보니 자식도 생기고 또 그러다 보니 이젠
남녘의 고향에 맘대로 갈 수가 없는 운명적인 제 2의 인생......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쟁터로 남편을 보내고 나서
생사도 모르는 체, 기다림에 지쳐버린 고향의 부인(본처),
지오반나(Sophia Loren, 1934. 이태리 캄파니아)의
심정은 또 얼마나 오죽하겠는가?
생사만이라도 알 수 있었으면 하는 그 안타까운 심정은
어린 아이라도 다 이해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태리에서부터 러시아까지 그토록 먼 길을 달려와서,
너무나도 보고 싶었던 남편의 살아있는 모습을
역에서 보는 순간, 말 한마디도 하지 못하고,
도망치듯 열차에 허겁지겁 올라타 떠나는
지오반나의 그 표정이 압권인 잊지 못할 명장면,
이후 (고향에서) 꿈같은 재회!
그리고 예전에 군복을 입은 남편을 배웅하였던
이태리의 그 역에서(위+아래의 사진)
다시 한 번 더 기나긴 이별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들의 기구한 운명,
(대부분의 여성관객들은 이때 주인공인 지오반나의 편이 되어,
안토니오가 다시 러시아로 돌아가지 않았으면 하고 바랬다고 한다.)
그런데, 이 영화를 보면서 재미있는 건, 이런 장면들은
분명히 한국 영화에서도 오래전부터 많이 봐 왔다는 사실이다.
한때 우리나라 영화계도 한국 전쟁 등을 배경으로 한
이런 스타일의 멜로드라마가 무척이나 인기를 얻던 시절이
있었지만, 누가 먼저라고 굳이 따질 필요 없이,
그냥, 서로가 서로에게 (작품적)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나
생각하면 편할 듯하다.
[몇 몇 한국감독들은 이 영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하였다.]
이태리와 프랑스의 합작으로 제작된
이 영화의 스코어(OS)를 미국 할리우드에서 활동 중인
헨리 맨시니(Henry Mancini, 1924-1994, 미국)가
맡았다는 것도 상당히 특이한 일이다.
[당시, 니노 로타(Nino Rota)같은 자국의 쟁쟁한 작곡가가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첫 장면의 오프닝 크레디츠(아래 동영상)에서부터 흐르는
메인 테마(Main Theme)곡은 한번 들으면 귀에서 쉽게
떠나지 않는 매우 동양적인 멜로디가 무척이나 아름답고
인상적이다.
피아노로 시작이 되다가 오케스트라의 전체 연주로
서서히 전환이 되며 감동을 주는 이 아름다운 주제곡은
전체적으로도 슬픈 분위기가 물씬 물씬 풍겨 나는데, 마지막
장면을 포함하여, 전편을 통해서 약 열 번 이상 들을 수가 있다.
배우로서도 잘 알려졌었고 또 우리에게는 이런 멜로드라마의
영향을 많이 준 나폴리 출신의 명감독,
비토리오 데시카 (Vittorio De Sica, 1902-1974, 이태리)는
생전에 156편이라는 많은 영화에도 출연하였지만,
(1923년에 데뷔)
이 영화같이 아름답고 슬픈 멜로물들을 포함하여,
총 36편의 영화를 감독하였고, (1940년에 데뷔)
21편의 영화각본을 썼으며, 8편의 영화를 직접 제작
(Producer) 하기도 한 이태리의 국민적 영화인 인데,
한국에서는 역시 1957년의 (리메이크)작인
‘무기여 잘 있거라(Farewell To Arms)(컬러 판)‘
에서의 리날디 소령 역으로 그 얼굴이 잘 기억 되고 있다.
어쨌든 이차 세계대전 후의 이태리 영화계의
네오 리얼리즘(Neo Realism) 의 대표적인 감독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가장 많이 받은 감독으로서
오늘날 역사는 그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태리 영화계의 김 진 규‘ 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던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Marcello Mastroianni. 1924-1996, 이태리)는
‘달콤한 인생(La Dolce Vita. 1960)’ 이나
’카사노바 70(Casanova'70. 1965)‘에서와
같이 더 이상 철부지 같은 플레이보이가 아니었으며,
여 주인공, 소피아 로렌(Sophia Loren. 1934. 이태리 캄파니아)
역시도 더 이상 풍만한 육체미와 백치미만을 보여주던
그런 글래머 스타가 아니었다.
단지 살아남기 위한 한 명의 참전용사(마스트로야니)로서,
그리고, 어지간한 사람들이라면 벌써 죽었으리라고 포기
하였을 텐데도 악착같이 남편을 찾아 흑백사진 한 장만
손에 달랑 들고, 그 먼 길을 찾아 나서는 맹렬 여성으로의
연기 변신이 더욱 빛난다.
그래서 이 영화에서의 이런 연기변신은
그들의 다양한 연기경력에서 (둘 다에게) 오늘날 까지도
상당히 중요한 금자탑으로 자리 잡아 기억이 되고 있다.
한편, 이 영화가 촬영될 당시의 소련(USSR)은
개방이 되기 이전임에도 불구하고
모스코바의 붉은 광장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이 상업영화를 촬영을 하였다는 것이 참으로 대단하다.
(아래 사진도 운동장에 실제로 모여 있던 군중들 사이에서의 촬영을 하였다고 한다.)
아군과 적군을 가리지 않고,
전사자라면 그냥 다 한 곳에다가 묻어 버렸다는 러시아 전선의
옛 전쟁터에서 이제는 끝없이 펼쳐진 해바라기들이 자라나고 있고,
(이 꽃들의 자연적 비료가 무엇인지를 생각하면 참으로 기가 막힌다),
그 꽃 숲을 이룬 들판위로는 사람들의 이런 슬픈 역사를 아는지
모르는지, 여름날의 맑은 햇살만이 화면 속에 가득하다.
해를 따라 움직인다는 이 꽃처럼
‘님을 향한 일편단심’을 표현 하자는 건지,
아니면 꽃다운 그 수많은 아까운 청춘들의 어처구니없는 희생들이
그 땅에서 해바라기의 아름다움으로 다시 환생함을 표현하자는 건지.....
제목을 왜 굳이 해바라기 라고 지었는지 새삼 궁금해진다.
아무래도 그 답은 .
영화를 보면서 우리들이 직접 풀어야 할 몫 인 듯하다.
* 관련 영화 동영상 모음:
revised. Feb. 2019.
1970년/감독:Vittorio De Sica/주연:Sophia Loren + Marcello Mastroianni
음악: Henry Mancini/ 108분
우즈베키스탄이나 중앙아시아 그리고
사할린과 연해주 지방 등에 살고 있는
수많은 우리나라 동포들이 그러하듯이
(물론, 남과 북으로 갈라진 한반도의 이산가족들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지만....)
전쟁은 참으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고향을 떠나
먼 이역에서 본의 아니게 타향살이를 하게끔 만들었다.
이 영화 속의 남자 주인공,
안토니오 (Marcello Mastroianni, 1924-1996, 이태리) 역시
고향, 이태리에서 러시아 전선으로 파병이 되고 나서,
전쟁이 끝난 후에도 사정상 또는 인정상,
(해바라기가 잘 자라는) 그곳에 눌러앉아 살게 된다.
흰 눈 속의 강추위에서 죽음의 일보직전에까지 갔던
자신을 살려준 한 여인을 누구라도 그러 했겠지만,
어찌 모른 척 할 수 있었겠는가?
그래서 할 수 없이 같이 살게 되었고,
살다보니 자식도 생기고 또 그러다 보니 이젠
남녘의 고향에 맘대로 갈 수가 없는 운명적인 제 2의 인생......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쟁터로 남편을 보내고 나서
생사도 모르는 체, 기다림에 지쳐버린 고향의 부인(본처),
지오반나(Sophia Loren, 1934. 이태리 캄파니아)의
심정은 또 얼마나 오죽하겠는가?
생사만이라도 알 수 있었으면 하는 그 안타까운 심정은
어린 아이라도 다 이해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태리에서부터 러시아까지 그토록 먼 길을 달려와서,
너무나도 보고 싶었던 남편의 살아있는 모습을
역에서 보는 순간, 말 한마디도 하지 못하고,
도망치듯 열차에 허겁지겁 올라타 떠나는
지오반나의 그 표정이 압권인 잊지 못할 명장면,
이후 (고향에서) 꿈같은 재회!
그리고 예전에 군복을 입은 남편을 배웅하였던
이태리의 그 역에서(위+아래의 사진)
다시 한 번 더 기나긴 이별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들의 기구한 운명,
(대부분의 여성관객들은 이때 주인공인 지오반나의 편이 되어,
안토니오가 다시 러시아로 돌아가지 않았으면 하고 바랬다고 한다.)
그런데, 이 영화를 보면서 재미있는 건, 이런 장면들은
분명히 한국 영화에서도 오래전부터 많이 봐 왔다는 사실이다.
한때 우리나라 영화계도 한국 전쟁 등을 배경으로 한
이런 스타일의 멜로드라마가 무척이나 인기를 얻던 시절이
있었지만, 누가 먼저라고 굳이 따질 필요 없이,
그냥, 서로가 서로에게 (작품적)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나
생각하면 편할 듯하다.
[몇 몇 한국감독들은 이 영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하였다.]
이태리와 프랑스의 합작으로 제작된
이 영화의 스코어(OS)를 미국 할리우드에서 활동 중인
헨리 맨시니(Henry Mancini, 1924-1994, 미국)가
맡았다는 것도 상당히 특이한 일이다.
[당시, 니노 로타(Nino Rota)같은 자국의 쟁쟁한 작곡가가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첫 장면의 오프닝 크레디츠(아래 동영상)에서부터 흐르는
메인 테마(Main Theme)곡은 한번 들으면 귀에서 쉽게
떠나지 않는 매우 동양적인 멜로디가 무척이나 아름답고
인상적이다.
피아노로 시작이 되다가 오케스트라의 전체 연주로
서서히 전환이 되며 감동을 주는 이 아름다운 주제곡은
전체적으로도 슬픈 분위기가 물씬 물씬 풍겨 나는데, 마지막
장면을 포함하여, 전편을 통해서 약 열 번 이상 들을 수가 있다.
배우로서도 잘 알려졌었고 또 우리에게는 이런 멜로드라마의
영향을 많이 준 나폴리 출신의 명감독,
비토리오 데시카 (Vittorio De Sica, 1902-1974, 이태리)는
생전에 156편이라는 많은 영화에도 출연하였지만,
(1923년에 데뷔)
이 영화같이 아름답고 슬픈 멜로물들을 포함하여,
총 36편의 영화를 감독하였고, (1940년에 데뷔)
21편의 영화각본을 썼으며, 8편의 영화를 직접 제작
(Producer) 하기도 한 이태리의 국민적 영화인 인데,
한국에서는 역시 1957년의 (리메이크)작인
‘무기여 잘 있거라(Farewell To Arms)(컬러 판)‘
에서의 리날디 소령 역으로 그 얼굴이 잘 기억 되고 있다.
어쨌든 이차 세계대전 후의 이태리 영화계의
네오 리얼리즘(Neo Realism) 의 대표적인 감독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가장 많이 받은 감독으로서
오늘날 역사는 그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태리 영화계의 김 진 규‘ 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던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Marcello Mastroianni. 1924-1996, 이태리)는
‘달콤한 인생(La Dolce Vita. 1960)’ 이나
’카사노바 70(Casanova'70. 1965)‘에서와
같이 더 이상 철부지 같은 플레이보이가 아니었으며,
여 주인공, 소피아 로렌(Sophia Loren. 1934. 이태리 캄파니아)
역시도 더 이상 풍만한 육체미와 백치미만을 보여주던
그런 글래머 스타가 아니었다.
단지 살아남기 위한 한 명의 참전용사(마스트로야니)로서,
그리고, 어지간한 사람들이라면 벌써 죽었으리라고 포기
하였을 텐데도 악착같이 남편을 찾아 흑백사진 한 장만
손에 달랑 들고, 그 먼 길을 찾아 나서는 맹렬 여성으로의
연기 변신이 더욱 빛난다.
그래서 이 영화에서의 이런 연기변신은
그들의 다양한 연기경력에서 (둘 다에게) 오늘날 까지도
상당히 중요한 금자탑으로 자리 잡아 기억이 되고 있다.
한편, 이 영화가 촬영될 당시의 소련(USSR)은
개방이 되기 이전임에도 불구하고
모스코바의 붉은 광장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이 상업영화를 촬영을 하였다는 것이 참으로 대단하다.
(아래 사진도 운동장에 실제로 모여 있던 군중들 사이에서의 촬영을 하였다고 한다.)
아군과 적군을 가리지 않고,
전사자라면 그냥 다 한 곳에다가 묻어 버렸다는 러시아 전선의
옛 전쟁터에서 이제는 끝없이 펼쳐진 해바라기들이 자라나고 있고,
(이 꽃들의 자연적 비료가 무엇인지를 생각하면 참으로 기가 막힌다),
그 꽃 숲을 이룬 들판위로는 사람들의 이런 슬픈 역사를 아는지
모르는지, 여름날의 맑은 햇살만이 화면 속에 가득하다.
해를 따라 움직인다는 이 꽃처럼
‘님을 향한 일편단심’을 표현 하자는 건지,
아니면 꽃다운 그 수많은 아까운 청춘들의 어처구니없는 희생들이
그 땅에서 해바라기의 아름다움으로 다시 환생함을 표현하자는 건지.....
제목을 왜 굳이 해바라기 라고 지었는지 새삼 궁금해진다.
아무래도 그 답은 .
영화를 보면서 우리들이 직접 풀어야 할 몫 인 듯하다.
* 관련 영화 동영상 모음:
revised. Feb. 2019.
'영화음악이야기들-1970년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팅 / The Sting 음악적 리뷰 + 동영상 모음 (0) | 2014.01.25 |
---|---|
포세이돈 어드벤쳐 / The Poseidon Adventure 음악적 리뷰 + 동영상모음 (0) | 2014.01.22 |
브라더 썬, 시스터 문/ Brother Sun, Sister Moon 리뷰 + 동영상 모음 (0) | 2013.06.12 |
42년의 여름 / Summer Of '42 음악적 리뷰 + 동영상 모음 (1) | 2013.06.12 |
비열한 거리 / Mean Streets 음악적 리뷰 + 동영상 모음 (0) | 201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