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0

사랑에 관한 단상 – 얼마나 멋진 세상인가! 사랑에 관한 단상 – 얼마나 멋진 세상인가! 저승사자가 과연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있다고 가정하고 갑자기 저승사자가 나타나 이제 갈 시간이 됐다고 하면 우리들의 심정은 어떠할까요? 바로 그런 설정의 영화가 있었는데, 1998년 작인 ‘조 블랙(Meet Joe Black)’입니다. 브래드 피트(Brad Pitt. 1963)가 교통사고로 죽은 젊은 청년의 몸을 빌린 저승사자가 되어 미디어 재벌, 앤소니 홉킨스(Anthony Hopkins. 1937)을 65회 생일날에 데려갑니다. 바로 이 부분에서 자연스럽게 호기심이 발동합니다. 과연 그 심정은 어떨까? 또 그가 살아온 세상은 어떤 느낌이었을까? 이런 호기심에 대한 답은 거창한 그의 생일 파티에서 밴드가 연주하는 바로 이 곡입니다. What a Wonderf.. 2019. 12. 3.
사랑에 관한 단상 – 내 나이 마흔 살에는 사랑에 관한 단상 – 내 나이 마흔 살에는 “내 나이 마흔 살에는“ 라는 제목의 양희은의 노래가 있습니다. 환갑을 넘어선 양희은도 이 노래를 마흔 살이 넘은 나이였던 1995년에 자신이 직접 작사를 하여 녹음을 했었다지만 한편으로는 이 노래의 키워드를 40살이 아니라 50살 그리고 60살, 70살 이라고 바꿔, 개사를 해서 불러도,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아주 많이 공감이 되는 가사이죠. 얼핏 이 노래를 들으면, 경쾌한 남미풍의 리듬과 또 느리지 않은 템포 때문에 즐겁게도 느껴지는 첫 인상이지만요 그러나 가사를 천천히 음미하며 들으면 가슴이 너무나 짠해집니다. 그리고 슬퍼지기까지도 하죠....... “봄이 지나도 다시 봄~ 여름 지나도 또 여름~ 빨리 어른이 됐으면... 난 바랬지, 어린 날에... 나이 열.. 2019. 10. 3.
사랑에 관한 단상 – 나였던 그 아이 사랑에 관한 단상 – 나였던 그 아이 서울시 광화문 사거리와 신논현역 사거리에 있는 교보문고의 외벽에 늘 걸려있는 큰 현수막에는 언제나 좋은 글들이 쓰여 있습니다. 좋은 글이 있는 책을 파는 문고로서는 아주 그럴듯한 발상이 아닐 수 없죠. 위의 사진도 운전 중, 신호대기를 하다가 글이 마음에 와 닿아 사진으로 담았었죠. “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 아직 내속에 있을까 아니면 사라졌을까 ” 어떻습니까? 우리 자신을 뒤돌아보게 하는 글 아니겠습니까? 사람들은 이 지구상에서 누구보다도 바로 자신을 가장 사랑한다고 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나였던 그 아이도 내가 가장 사랑했을 텐데, 과연 아직도 내속에 있을까요? 아마 중년이 넘은 사람들은 거의 다 이렇게 생각을 할 겁니다. 내 마음속에 그 아이는 .. 2019. 9. 15.
어느 개인날 아침 갑자기 / Par Un Beau Matin D'ete 주제곡과 동영상모음 어느 개인날 아침 갑자기 / Par Un Beau Matin D'ete 주제곡과 동영상모음 1965년/감독: Jacques Deray /주연: Jean-Paul Belmondo + Geraldine Chaplin 음악: Michel Magne/109분-흑백 우리나라에선 미남의 대명사로 불리었던 알랑 드롱(Alain Delon. 1935. 프랑스)의 그늘에 가려 이 영화의 주인공, 장 뽈 벨몽도(Jean-Paul Belmondo.1933. 프랑스)의 인기가 한 수 아래인 것처럼 평가되기도 했었다. 그러나 사실 프랑스에서도 그렇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전 세계 액션 영화 팬들에게는 이 벨몽도가 드롱보다도 훨씬 더 인기가 대단하였다는데, ‘리오의 사나이(L' Homme De Rio. 1964)‘로 최고.. 2019. 8. 22.